경제

12. 두바이 초콜릿 열풍, Fix의 성공과 한계 분석

돌돌55 2025. 6. 3. 09:53

 

두바이 초콜릿의 시작

Fix Dessert Chocolatier(이하 Fix)는 2021년에 창업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만 영업을 시작했지만, SNS 바이럴을 타고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게 되었다. Fix가 처음 만든 두바이 초콜릿은 입소문을 타며 하나의 글로벌 신드롬이 되었고, 그 인기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비롯되었다.

1. 독창성과 아름다움 : 카다이프와 피스타치오를 활용해 만든 초콜릿은 독특한 식감과 맛을 자랑했고, 초콜릿 겉면에는 초록색과 주황색 줄무늬가 화려하게 그려져 있어 시각적으로도 큰 즐거움을 줬다.  

2. 의도적인 희소성 : Fix는 두바이에서만 제품을 판매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구매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았음에도 직접 구매할 수 없었다. 이 희소성은 오히려 사람들의 열광을 불러일으켰고, Fix 초콜릿의 인기를 더욱 키웠다.

 

 

기업 가치와 성장의 한계

하지만 Fix가 엄청난 기업 가치를 인정받으며 크게 성장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1. 생산량의 한계 : Fix 초콜릿은 고가 제품임에도 하루 생산량이 약 500개로 제한되어 있어 큰 매출을 내기 어려웠다. 모든 공정이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품질과 희소성은 높았지만, 동시에 생산량 부족이라는 한계도 안고 있었다.

2. 레시피 보호의 어려움 : 두바이 초콜릿의 가치는 특별한 기술보다는 참신한 아이디어에 있었다. Fix의 밀크 초콜릿, 카다이프, 피스타치오 조합을 완전히 복제하긴 어렵지만, 비슷한 맛을 구현한 유사 제품들은 충분히 만들어낼 수 있었다. 스타벅스, 던킨, 린트 같은 대기업들은 두바이 초콜릿에서 영감을 받은 음료, 도넛, 초콜릿을 대량으로 출시해, 원조 제품을 얻지 못한 사람들의 구매를 이끌었다. 한국에서도 편의점에 입점한 두바이 초콜릿 제품들 대부분은 Fix의 원조 제품이 아니라 모방한 상품이었다.

 

 

결론

나는 아직 두바이 초콜릿을 직접 먹어보지는 못했지만, 최근에는 예전보다 그 열풍이 다소 잦아들었다는 느낌을 받는다. Fix는 엄청난 인기와 글로벌 주목을 끌었음에도 불구하고, 생각만큼 큰 성과나 기업 가치 상승으로 이어지지는 못한 것 같아 아쉬운 부분이 있다. 나는 이 점이 식품 산업의 본질적인 한계 때문이라고 본다. 식품은 물리적으로 생산해야 하는 실물 산업이고, 제품 보호(예: 레시피나 제조 방식)도 쉽지 않다. 또한 유통·보관·신선도 등 다양한 관리 이슈가 동반되기 때문에 단순히 인기만으로는 확장이 어렵다.

하지만 Fix 같은 소규모 식품 기업도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통해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1. 다른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 : 콜라보레이션은 소규모 브랜드가 단숨에 대중적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강력한 전략, 두바이 초콜릿을 모방하는 제품 출시 대신에 정식으로 진출할 수 있음

- 던킨 X 오레오 : 오레오 쿠키 크럼블을 토핑하거나, 오레오 크림을 채운 도넛 출시

- 도쿄바나나 X 베스킨라빈스 : 바나나 아이스크림과 바나나빵 맛, 바나나 커스터드 리본, 카스테라 큐브 등으로 도쿄바나나의 부드럽고 달콤한 맛을 아이스크림으로 구현

2. 빠른 확장 : 빠른 확장은 시장 점유율을 넓힐 기회가 되지만, 동시에 큰 위험과 품질 저하 가능성을 안고 있다.

- 쉐이크쉑 : 미국 뉴욕의 작은 버거 가게에서 시작해 글로벌 체인으로 성장

 

 

참고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zwkKjIAnes&ab_channel=CN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