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103

9-1 NVL 함수 활용하기

데이터를 다루다보면 결측치(NULL)가 있을때가 있다. 그러면 이를 그냥 두면 결측치가 포함된 컬럼값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결측치를 컨트롤하는 방법 중 하나로 특정값으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NVL 함수는 NULL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이다 결측치가 아니라면 원래값, 결측치면 대체하는 값으로 바꿔준다. 아래 예시는 SAL+COMM의 값이 나오게 변경해준 예시이다. NULL 대신 0이 들어가서 더하기가 가능하였고 결측치가 없게 되었다. 결측치를 다룰때는 항상 조심하여야한다. 어떤 방법이 가능 데이터에 적합한지 고민하고 테스트해야한다. 이번에 SQL의 새로운 결측치 처리방법을 배웠으니 결측치가 나올때 또다른 처리방법으로 활용해보자

코딩/SQL 2022.05.03

8. WHERE절 - 문자, 날짜 검색

1. 문자를 검색할때 '로 잘 감싸줘야한다.(작은 따옴표!!!) 2. 날짜는 접속한 세션에 따라 형태가 다를 수 있으니 확인이 필요함 앞선 시간에 비교연산자를 이용해서 숫자형 데이터 검색을 해보았다. 이번에는 문자형 데이터를 찾는 방법을 작성하였다. 방법은 이전과 동일하지만 작은 따옴표로 문자형을 표현해야한다. 이름이 SCOTT인 데이터를 출력해보자 날짜는 나라마다 형식이 다르니 포맷을 확인하구 실행해야한다. 일반적인 포맷은 아래의 코드로 확인이 가능하며 날짜는 NLS_DATE_FORMAT에서 확인할 수 있고 아래 예시를 보면 RR/MM/DD로 확인 가능하다. (RR: 연도, MM : 월, DD : 일) 그러면 아래와 같이 검색하면 된다,(작음따옴표 조심!!) 궁금증 : SCOTT 이름 말고 S로시작하는..

코딩/SQL 2022.05.01

6. 데이터를 정렬해서 출력하기(ORDER BY)

요약 1. 데이터를 정렬해서 출력하고 싶으면 ORDER BY를 사용 2. 오름차순은 ASC, 내림차순은 DESC 3. 여러개의 컬럼을 엮어서 정렬할 수 있음 데이터를 오름차순/내림차순으로 보고싶을때가 있다. 그때 ORDER BY를 쓰면된다.!! ORDER BY의 위치를 잘 확인하자 -제일 아래에 있음 컬럼 별칭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래 컬럼명, 변경한 컬럼명(월급, sal) 모두 된다. 그러면 두개 이상의 컬럼에서도 될까?? deptno는 내림차순으로 우선 정리되고 같은 deptno에서 월급이 작은 순으로(오름차순)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숫자로 바꿔서 사용도 가능하다고 하니 이게 편한 경우는 빠르게 쿼리 작성이 가능해보인다 (난 헷갈릴 거 같아서 컬럼명을 쓸거같음) R에선 sort..

코딩/SQL 2022.04.29

4. 연결 연산자 사용하기(||)

1. 컬럼과 컬럼을 연결할때는 ||를 사용하면 된다. 2. 앞장에서 배운 따옴표(")를 쓰면 더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두 컬럼을 연결하고 싶을때 사용하면 좋은 방법이다. 사용방법도 간단하게 || 를 사용하면 쉽게 가능하다. 조금 응용하면 다음과 같은 활용도 가능하다 마지막에 as ''를 사용하는 것만 유의해서 새로운 컬럼을 만들어보는 것도 좋아보인다.

코딩/SQL 2022.04.27

3. 컬럼 별칭을 사용하여 출력되는 컬럼명 변경하기

요약 1. as를 이용하면 컬럼(변수)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2. 따옴표(")를 사용하면 내가 원하는 정확한 변경이 가능하다.(대소문자 구분, 공백문자, 특수문자($,_,# 가능) 3. 별칭을 사용하면 ORDER BY절을 사용할 때 유용하다고 하니 기억해두자! **주의 : 컬럼 = 변수임 변수의 이름을 바꾸고 싶을때가 많다. 한글로 바꿔서 알아보고 쉽게 만들거나, 변수명이 너무 길어 짧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나는 R에 익숙해서 R의 colnames로 바꾸곤하는데 SQL에서도 비슷한 기능이 있다고한다. 그것은 바로 as!!! 바로 실습을 해보자 as를 통해 empno가 번호, ename이 사원이름, sal이 Salary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alary는 따옴표를 써서 바꾼 것을 볼 수 있..

코딩/SQL 202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