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데이터 수집
수집 대상 : 지우개, 볼펜, 립밤
선정 사유
- 지우개 : 가장 궁금한 물건
- 볼펜 : 잘 쓰이는 필기구 중 하나
- 립밤 : 지우개와 비슷한 크기
실험 방법
- 책상 위에서 물건을 떨어뜨리고 떨어진 위치를 측정한다.
- 비슷한 힘으로 밀어야하므로 펜을 동일한 위치까지 당긴 힘으로 밀침
데이터 수집(cm)
- 지우개 : 30, 65, 40, 60. 55
- 볼펜 : 32, 24, 45, 50, 55
- 립밤 : 50, 70, 105, 60, 90
특징
- 지우개 : 떨어지면서 높게 튕겨나가긴 함
- 볼펜 : 대부분 처음 떨어진 위치에 멈춤
- 립밤 : 떨어진 위치에서 굴러가서 장애물이 있는 곳까지 굴러감
4. 결과
떨어진 거리 평균
# python
items = { # 항목별 데이터
"지우개": [30, 65, 40, 60, 55],
"볼펜": [32, 24, 45, 50, 55],
"립밤": [50, 70, 105, 60, 90]
}
def calculate_average(values): # 평균 계산
return sum(values) / len(values)
for item, values in items.items(): # 결과 출력
average = calculate_average(values)
print(f"{item}의 평균: {average:.2f}")
- 지우개의 평균: 50.00
- 볼펜의 평균: 41.20
- 립밤의 평균: 75.00
5. 데이터 분석 결과
- 지우개 : 평균적으로 약 50cm 정도 떨어졌으며, 튕겨나가는 특성이 관찰되었다. 이는 고무 재질과 둥근 모서리 때문에 떨어질 때 탄성을 보이며 이동 거리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 볼펜: 평균 41.2cm로, 다른 물체에 비해 이동 거리가 짧다. 이는 볼펜의 길고 굴러가는 것을 방지한 디자인 형태가 초기 위치 근처에서 멈추게 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 립밤: 평균 75cm로 가장 멀리 이동했으며, 떨어진 위치에서 굴러가 장애물에 멈추는 특징이 있다. 이는 원통형 구조로 인해 쉽게 굴러가는 특성이 반영된 결과다.
6. 결론
가설 2에서 제시한 부분이 대체로 맞았다. 실험에서 지우개는 다른 물체에 비해 더 멀리 이동했으며, 튕기는 특성이 관찰되었다.
이는 고무 재질과 형태적 특성이 잃어버리기 쉬운 원인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케이크 예약 페이지와 구글 스프레드시트 연동 (0) | 2025.05.05 |
---|---|
3.1 케이크 예약 페이지 만들기 (0) | 2025.05.01 |
2. 지표 생성(근속년수) (0) | 2025.04.07 |
1.1 지우개를 잘 잃어버리는 이유 (0) | 2024.12.29 |
데이터로 세상 알아보기 (0)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