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조인9(FULL OUTER JOIN) 두 데이터의 합집합을 출력해보자 FULL OUTER JOIN만 기억하면 된다. 그 결과 양측에 다 있지않고 둘 중 하나에 있어도 출력해준다. 오라클 조인에서는 (+)를 한 부분에서만 쓸 수 있어서 OUTER JOIN을 바로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UNION을 사용해서 할 수 있다고하니 다음 단원에서 UNION을 공부해보자 코딩/SQL 2022.06.09
65. 조인8(LEFT/RIGHT OUTER JOIN) 오라클 조인에서 (+)로 표현하는 OUTER JOIN을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RIGHT OUTER JOIN은 두번째(우측) 데이터가 더 클때 표현하는 방법이다. 반대의 경우 LEFT OUTER JOIN으로 작성하면 된다. 코딩/SQL 2022.06.09
64. 조인7(NATURAL JOIN) NATURAL JOIN은 두 데이터의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해서 연결한다. 따로 컬럼명을 명시하지않지만 두 데이터 모두 갖고 있는 컬럼으로 연결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사용한다. 연결고리가 되는 deptno에는 데이터 별칭을 붙히지않고 작성해야한다. 붙히면 오류가 나오니 주의하자 아래와같이 별칭없이 출력해보자 코딩/SQL 2022.06.07
62. 조인5(ON절) 앞서 배운 조인은 오라클 조인이라고한다 오라클 조인 : EQUI JOIN, NON EQUI JOIN, OUTER JOIN, SELF JOIN 이제는 STANDARD 조인 방법을 배워보자 책에서는 오라클 조인이 많이 사용된다고 하지만 다른사람의 코드를 이해하고, 유연한 코드 작성을 위해 배워보자 문법은 JOIN ~~ ON을 사용하면 된다. JOIN 뒤에 합쳐질 데이터 테이블, ON 뒤에 연결이 되는 KEY를 작성하면 된다. 코딩/SQL 2022.06.07
37. Type of Triangle 이젠 문제가 좀 길어졌다. 문제는 간단하다. 세 변이 주어졌고 이걸로 구성된 삼각형이 어떤 삼각형인지 출력하면된다. CASE 함수로 문제를 풀어보자 CASE WHEN ~~ THEN ~~ IF문이 아직 다듬어지지않았다. A,B,C가 점점 커질때만 맞는 코드이다. 그래서 모든 경우를 포괄하는 형식으로 바꿨다. CASE WHEN ~~ THEN ~~ WHEN ~~ THEN ~~ ELSE ~~ END 위 함수를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보았는데 하드코딩이라 뭔가 만족스럽지않다...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기 전 내가 조금 더 생각해보자 코딩/SQL 코딩테스트 2022.06.06
36. Top Earners 이번엔 문제가 좀 길다. 총 봉급 1위와 그 사람이 몇명인지 구하면된다. 조금 오래전에 풀어서 기억이 좀 가물가물한데 서브쿼리로 맥스 값을 뽑고, count로 개수를 세면 될거같다. 흠.... 왜 earning을 썼지... 이건 좀 아닌거같다. 컬럼명을 바꾸는 것은 안되는 것으로 보인다. 아... 왜 틀렸을까.... 내가 제출한 답지를 보니깐 salary*months는 7개의 행이 있는데 count는 1개행이라 오류가 난것을 보인다... 보면서 틀린것을 이해하고 다음을으로 넘어가자!! 코딩/SQL 코딩테스트 2022.06.06
61. 조인4(SELF JOIN) 요약 1. SELF JOIN은 한 데이터에서 JOIN을한다 mgr 변수는 사원의 관리자를 알려주는 변수이다. 번호로 되어있는 mgr을 이용해서 관리자 이름으로 출력해보자 코딩/SQL 2022.06.06
60. 조인3(OUTER JOIN) 요약 1. 한쪽에만 존재하는 데이터를 보여주려면 (+)를 부족한 쪽에 작성해주면된다. 이번엔 EQUI JOIN에서 볼 수 없던 것도 출력해보자 지난번 EQUI에서는 BOSTON이 출력되지않았다. 왜냐하면 emp 데이터에서 보스턴에 해당되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EQUI JOIN에서 부족한 부분에 (+)를 추가해주면 된다. 코딩/SQL 2022.06.06
59. 조인2(NON EQUI JOIN) 요약 1. 범위 안에 있는 데이터와 연결하고싶으면 BETWEEN 2. 조금 어려워진다... 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인하는 것 중 이번엔 NON EQUI JOIN이다. 앞으로 몇가지 조인 방법을 배우는데 익숙해져보자 EQUI JOIN에서는 같은 데이터를 엮어서 표현했다. 하지만 이번엔 같은 변수가 없다. 그러나 salgrade의 losal, hisal 사이에 있다. 이 사이의 값을 가져와서 출력해보자 그건 BETWEEN 함수로 가능하다. WHERE A BETWEEN B AND C 이면 A는 B,C 사이이의 값과 동일하다고 표시된다. 아래 예시는 봉급의 등급을 표현하는 것이다. emp의 sal은 salgrade의 losal과 hisal 사이에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코딩/SQL 2022.06.06
58. 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인하기(EQUI JOIN) 요약 1. 여러 테이블을 조인하는 것 중 =을 사용하는 것을 EQUI JOIN이라고 한다. 2. 두 데이터 셋을 병합해서 할 수있지만 몇가지 주의사항을 기억하자 서로 다른 테이블에 있는 컬럼들을 한번에 출력하려면 JOIN을 사용해야한다. WHERE에서 서로의 공통 KEY를 알려주면 간단하게 출력된다. WHERE절에 조건을 더 추가할 수 있다. emp 데이터 중 job이 ANALYST인 자료를 출력한다. -------------------------------------------------------------------------------------------------------------------------- ------------------------------------------------.. 코딩/SQL 2022.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