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

19. 문자에서 특정 철자 위치 출력하기(INSTR)

요약 1. 문자에서 특정 철자의 위치를 알기위해선 INSTR을 사용한다. 2. 정확히 일치하는 것만 출력한다. 3. 다음번엔 문자를 잘라서 출력하는 걸 해보자 문자열에서 내가 원하는 것이 어디있는지 찾는 것은 INSTR을 사용한다. 예제는 이름중 E가 어디있는지 출력하는 것이다. 따옴표에 들어있는 것이 정확히 일치해야한다. 소문자 e는 찾지 못한다. 두글자 이상의 문자열도 탐색이 물론 가능하며 처음시작되는 곳의 위치가 출력된다. 원래 현재과에 메일 주소 중 도메인 주소를 출력하는 것이 있는데 분량이 상당해서 다음과에 작성한다.

코딩/SQL 2022.05.15

9. Weather Observation Station 4

Success Rate : 98.7% 이번 코딩 테스트 문제는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문제이다. 아직 데이터의 개수을 세는 과정은 배우지않아서 책에서 살짝 보고 작성하였다. 책은 40. 건수 출력하기(COUNT) 이며 R과 동일하게 COUNT를 쓰면 개수를 출력할 수 있다. 우선은 잘못된 코드인데 두 도시간 개수를 각각 출력하는 코드이다. 중복이 없을때는 499개, 중복을 제외하면 486개의 데이터가 있다. 두개의 차이는 문제에도 나와있지만 " - "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나온다. 아래와 같이 두개의 결과값을 빼주면 원하는 차이인 13이 출력된다. 책을 보고 작성하면 간단하게 풀 수 있지만 내가 배우고 기억해서 푸는 것과 차이는 있어보인다. 앞으로는 문제 푸는 것도 좋지만 내 기본 실력도 키우면서 해보자

8. Weather Observation Station 3

이제부터는 난이도를 파악하기 위해 Rate를 제시한다. 높을 수록 쉬워서 정답을 잘 맞춘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번문제의 Rate는 Rate 97.82(정답율) 문제이다. 지금은 답을 다 풀고 올리는 것이지만 내가 풀었던 문제 중 가장 어려웠다. 중복, 짝수 탐색 등을 알아야 이 문제를 풀 수 있었다. 문제는 다음과 같다. STATATION의 데이터셋에서 ID가 짝수인 도시의 NAME을 출력하라는 코드이다. 그러나 중복되는 데이터가 출력되면 안된다! 나는 처음에 짝수의 ID를 출력하는 것에 집중했다. SELECT city FROM station WHERE id/2=0;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했는데 안되었다. 그래서 SQL 책을 좀 봤다. 거기서 MOD로 홀수 짝수를 구분하는 것이 있어 그대로 가져왔다. S..

7. Weather Observation Station 1

오늘은 한문제만 풀려고했는데 새로운 유형같아서 한 번 더 풀어본다. 문제는 간단하다. STATION 데이터 셋에서 CITY, STATE를 출력하면된다. 밑에 LAT_N, LONG_W는 변수에 대한 설명이니 가볍게 읽어보고 건너가자 이전 문제보다 간단한 코드로 해결이 가능하다. 원하는 변수인 CITY, STATE를 SELECT하고 데이터셋 이름인 STATION을 FROM으로 불러오면 된다!! 한번에 맞춰서 기분이 더 좋다 ㅋㅋㅋ

17. 문자에서 특정 철자 추출하기

요약 1. SUBSTR로 특정 철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번엔 문자열을 다뤄보자 특정 컬럼의 자릿수를 제한해서 보고 싶으면 어떻게 할까? SUBSTR을 사용하면된다. SUBSTR(표현할 문구, 처음 시작하는 것, 끝나는 것)으로 코드를 작성하면된다. 적지않으면 끝까지 출력된다. 음수의 표현도 가능한다 아래 예시에서 -3은 뒤에서 몇번째인지 표시하는 것이고 1은 출력할 글자의 수를 표현한다.

코딩/SQL 2022.05.11

16. 대소문자 변환(UPPER, LOWER, INITCAP)

요약 1. 대문자 변환 : UPPER 2. 소문자 변환 : LOWER 3. 첫글자만 대문자 : INITCAP 대소문자 중 어떻게 데이터가 구성되있을지 모른다. 이럴때 어떻게 해야할지 살펴보자 UPPER, LOWER, INITCAP를 사용하면 각 데이터를 대문자, 소문자, 첫글자만 대문자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활용 가능하다. 나는 데이터의 구성을 모르는데 아무튼 scott을 찾아야한다. 이때 scoTT, scoTt, SCott 어떻게 데이터가 되어 있는지 모르므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UPPER, LOWER는 검색할때 유용할 것 같고 INICAP은 출력할 때 예쁘게 보이는거 같다.

코딩/SQL 2022.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