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 빅테크가 주목하는 원자력 에너지

돌돌55 2025. 1. 8. 22:17

원자력 에너지의 부상

청정에너지 사용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필수적이지만, 인공지능(AI)과 같은 기술이 발전하면서 에너지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빅테크 기업들은 데이터센터를 늘리며 운영을 위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너지 소비는 증가하는 반면, 탄소 배출은 줄이고자 하는 요구가 맞물리며 원자력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원자력은 태양광이나 풍력과 달리 항상 발전할 수 있는 안정성과 탄소 배출 제로라는 강점을 지닙니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원자력 산업에 큰 투자를 시작하며 새로운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SMR(Small Modular Reactor), 즉 소형 모듈형 원자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대형 원자로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로, 원자력 발전의 미래를 이끌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원자력 발전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과거 대형 사고로 인한 부정적인 이미지와 안전성에 대한 걱정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소비가 계속 증가하는 상황에서, 원자력은 향후 상당 기간 동안 중요한 에너지 생산 방식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튜브 영상 속 궁금한 부분

원자력 발전은 일반적으로 대량의 냉각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바닷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내륙 지역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원자력 발전이 가능합니다.

  1. 강이나 호수에서 취수
    대부분의 내륙 원자력 발전소는 인근의 강이나 호수에서 냉각수를 끌어옵니다. 예를 들어, 브라운스 페리 발전소는 테네시 강에서 물을 공급받아 냉각을 유지합니다.
  2. 냉각탑과 지하수 활용
    내륙 지역에서는 냉각탑이나 지하수를 이용하여 냉각 과정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냉각탑은 물을 순환시키면서 일부는 증발시켜 냉각을 유지하며, 물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미국은 국토가 매우 넓고 강, 호수 등 수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한국처럼 반드시 바닷가에 의존하지 않아도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리적 여건 덕분에 내륙에서도 안정적으로 원자력 발전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브라운스 페리 발전소

 

내 생각

에너지 소비는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사람들은 더 많은 소비를 원하고, 더 큰 즐거움을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화석연료 사용은 줄여야 하지만 에너지는 여전히 많이 필요합니다. 게다가 에너지는 언제든 원하는 만큼 생산 가능하고, 비용 면에서도 경제적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한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원자력 발전이 다시 급부상하게 되었습니다.

경제적인 이유만으로도 원자력 산업을 육성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원자력에 대한 불안감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SMR(Small Modular Reactor) 같은 신기술이 등장했지만, 원자력을 통제하지 못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은 여전히 사람들의 두려움을 자극합니다.

제 생각에는,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기업이라면 에너지 생산에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봅니다. 에너지 소비의 이득뿐 아니라 생산의 책임도 함께 지게 함으로써 기업들이 긍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단어와 표현

underpin 뒷받침하다.
build out of the box 창의적인 방식으로 개발하다.
reinterpret 재해석하다.
abundant 풍부한
contamination 오염
malfunction 오작동
drawbacks 단점
obviously 분명히
cost overrun 비용 초과
incremental 점진적인, 증가하는
meanwhile 그동안에, 한편으로는
adjacent 인접한
intermittent 간헐적인
claim 주장하다. 요구하다
plug into the grid 전력망에 연결하다.
come with it 그것을 수반하다.
dialog 대화
skyrocket 급등하다
ticking up 조금씩 증가하는
tremendous 엄청난, 굉장한
midst 한가운데, 중심
reshoring 해외로 이전했던 생산기지나 일자리를 본국으로 되돌리는 과정
a factor of ten 10배
unprecedented 전레 없는
strain 압박

참고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58zHJL1dKtw&ab_channel=CNBC